仁/正

천안함사건 해경의 공식적 첫증언과 엄청난 파장의 후폭풍을 예고하다.

I T69 U 2011. 8. 24. 00:49

슬슬 시작되는건가?

" The Moment of true ", 진실의 순간.

세멘박의 치세가 저물고 나면 이처럼 국가규모의 호작질의 풍년인 시절은 다시는 구경하지 못하겠지만, 너무나 많은 조작, 날조, 왜곡의 사실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져 도대체 진실의 실마리를 어떻게 추스려 재구성해야 될지 정말 우려를 금치못할 따름이다.


천안함사건 날조와 관련된 법정에서의 첫증언, 아무쪼록 모든 진실이 낱낱이 누락됨 없이 백일하에 들어나는 시기가 보다 빨리 당겨지기를, 신상철대표가  무난히 지금의 역경을 딛고 진실의 선봉장으로 거듭나시기를 격렬히 염원한다.


아래는 해당 뉴스의 원문내용이니 관심있으신 분은 일독하시기 바란다.





--------------------------------이하 기사 본문--------------------------------

천안함 구조 해경 “천안함 좌초"  전문 전달받았다

해경 501호 부함장 증언 "좌초, 2함대서 연락받았을 것"

조현호 기자 | chh@mediatoday.co.kr                                                             입력 : 2011-08-22  22:41:44   노출 : 2011.08.23  13:23:54



천안함이 침몰된 직후 최초로 천안함 승조원을 구조했던 인천 해양경찰서 소속 501함 부함장이 천안함을 구조하러가던 도중 해경 상황실로부터 “천안함이 좌초됐다”는 상황을 전문으로 보고받았다고 밝혀 천안함 사고초기 원인을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해경 보고서에 ‘좌초’라는 언급이 돼있는 것으로 알려져있었지만 501함을 직접 지휘한 책임자가 사고직후 구조하러 가는 도중에 좌초됐다는 상황을 전달받은 사실이 알려진 것은 처음이다.

당시 해경 501함정 부함장으로 천안함 승조원 구조작업을 지휘한 유종철 해경 경위는 22일 천안함 의혹 제기로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된 신상철 서프라이즈 대표(전 민군합조단 민간위원)에 대한 서울중앙지법 형사36부(재판장 유상재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첫 공판기일에서 해경의 천안함 사고보고서에 최초상황이 ‘좌초’로 기재된 것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다.

유 전 부함장은 ‘좌초됐으니 가서 구조하라고 한 것이냐’는 신문에 “그렇다”고 말한 뒤 “(그 보고서는) 상황실이 처음 작성했는데, 어디서, 2함대에서부터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조하러 갈 때도 좌초라는 상황 전달이 있었는지에 대해 유 전 부함장은 “전문으로 (좌초라는 말이) 왔다”며 “구조하러 가는 중에 ‘좌초’라고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유 전 함장은 구조요청을 “휴대전화”로 처음 받은 시각이 26일 밤 9시34분이었고, 1분 뒤인 35분에 출동했으며, “인천해경 상황실 부실장”으로부터 전달받았다고 설명했다. 유 전 함장의 증언을 종합하면, 천안함 사고 당시 501함정은 대청도 남방 0.5마일 지점에 있었으며 상황실 부실장으로부터 “해군 772함이 백령도 남서방에 사고가 났으니 빨리 인명을 구조하라”는 연락을 받은 뒤 현장에 구조하러 가던 도중에 “좌초”상황을 전달 받은 것이다.



천안함 함미


긴박한 상황에서 ‘좌초’의 의미에 대해 유 전 함장은 단순히 배의 침몰 상태 또는 모든 침몰 사고일 경우가 아니라 ‘암초에 걸린 해난사고일 때 좌초라는 말을 쓴다’고 밝혔다. 해군이 좌초 용어를 어떻게 쓰는지 아느냐는 검찰측 신문에도 유 전 함장은 “거기서 어떻게 쓰는지는 모른다”면서도 “암초에 걸리면 좌초라고 통상 사용한다”고 밝혔다. 사고발생시 원인규명 전에도 좌초라고 보통 쓴다며 암초에 걸려 침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렇다고 유 전 함장은 전했다.

구조 직후 최원일 함장을 비롯해 승조원들에게 사고원인이 뭐냐는 등의 대화도 하지 않았느냐는 변호인측 질의에 유 전 함장은 “불난 집에 부채질할 것 같아서 안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유 전 함장은 당시 사고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좌표도 받았다고 밝혔다. 해경상황실로부터 △정부최종 발표지점, 백령도 서방 2.5km(북위 37도55분42초, 동경 124도36분02초) △해경이 최초로 천안함 상황 접수를 받았던 대청도 서쪽 해상이자 백령도 남서쪽 방향 6.5마일 해상(북위 37도50분, 동경 124도36분) △3월26일 국방부가 발표한 지점 백령도 서남방 1.8km지점인 북위 37도55분, 동경 124도37분 중 어디를 전달받았느냐는 신문에 유 전 함장은 첫 번째라고 답했다. 이는 정부와 국방부가 최종 사고지점이라고 밝힌 해역이다.

이를 두고 변호인측은 “당시 전문에 남아있고, 상황실과 501함에도 보관돼있는 만큼 별도로 사실조회를 해보겠다”고 밝혔다.

유 전 함장은 이렇게 해서 22시15분에 사고해역(구조작업을 벌인지역)에 도착했을 때 실제 좌표에 대해 “북위 37도52분10초, 동경 124도37분86초”라고 밝혔다. 이 위치는 백령도 남쪽 대청도 북쪽 사이로 정부가 발표한 사고지점 보다 한참 남쪽으로 떨어진 곳이다.



천안함 해경 보고서 ⓒ신상철 서프라이즈 대표 자료



유 전 함장은 대청도 남방 0.5마일 지점에서 사고지점 좌표를 받은 곳까지 이동거리가 “12마일 정도”라며 걸린 시간은 “21시35분 출발해 22시15분에 도착했으니 40분 정도”였으며 속력은 “17노트쯤 되는 것같다”고 답했다.



한편, (닻)부이를 설치한 위치와 관련해 의문스러운 답변도 나왔다. 유 전 함장은 침몰하고 있는 함수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사고 발생 5시간 후인 3월 27일 02시25분에 함수위치(북위 37도54분31초, 북위 124도40분90초)에 닻부위를 설치했고, 이날 아침 7시10분까지 닻부위와 함수의 위치를 확인한 뒤 주변의 수색작업을 위해 자리를 떴다. 그러나 그 뒤 함수는 완전히 침몰해있었고, 그날 14시40분(오후 2시40분)경 북위 37도54분36초, 동경 124도40분60초 지점에 닻부이가 설치된 것을 봤다고 말했다. 두 위치는 0.5~1마일 반경 이내의 거리차가 있는 것으로, 오후에 확인한 부이의 위치가 501함정이 새벽이 설치한 부이와 같은 것인지 의문을 낳았다. 이에 대해 유 전 함장은 “오후에 발견한 부이의 위치는 우리가 설치한 것과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