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이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감수성과 적응력은 세계 최고임을 재차 확인하게 된다.
트위터러의 대대적인 확산과 활용력은 가히 폭발적이다.
어떻게 아냐고?
나도 트위터를 지난 2010년 1월 이미 개설했지만 적응 못하고 방치하고 있었는 데, 사세훈이 셀프탄핵 이후 곽노현교육감의 박명기교수에 선의의 2억원 지원에 대한 대가성을 섹찰이 치고 나왔을 때, 그 허망함과 공허함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치다, 지금은 하루도 트위질을 안하면 좀이 쑤시는 지경까지 이르렀기 때문에 자신있게 말 할 수 있다.
2011년 9월부터 11월까지 단 3개월에 속삭임의 바다에서 허우적대고 있는 것이다.
참 그 대단함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더구나 남들은 스마트폰으로 트위터에 입문했다면 본인은 아직도 컴터 상에서 간헐적인 주제에 멘션을 줏어오고 메션을 집어던지며 트위터에 빠져있다.
또 다른 글질의 즐거움이, 또 다른 해갈의 기쁨을 발견하게 되어 너무 감사하다.
죄선이 요즘 트위터의 위력에 쫄면서 관련 기사를 다루던 중에 한국어의 비중과 관련한 기사가 눈에 띄어 죄선 거지만 포스팅한다.
근데 살펴보니 한글의 분포도 대단하지만, 왜 일본이 14%나 될까, 하는 갸우뚱한 감도 없지 않다.
개인적 소통만을 따졌을 때, 일본인구 1억2천만에 14%를 점한다는 것은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태리 등 유럽의 諸國들의 언어의 분포도 적지않아야 비율적으로 합리적인 결과를 보여줘야 균형있는 분포일 것이다.
그런데, 유독 일본, 말레시아, 한국, 태국 등 아시아와 재스민혁명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는 중동의 분포가 두드러짐을 나타낸다.
일본을 폄하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주요언어도 아닌 일본어가 14%나 된다는 것과 한국의 2%, 태국과 중동의 1%로 유력하게 비율이 나타난 것은 역시나 거대한 사회적 이벤트가 해당국가 내에서 트위터를 의사의 분출창구로 삼는 경우가 다분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인지 모른다.
뭐 죄선의 기사내용도 Semiocast 사이트의 분석내용을 그대로 옮겨 본인의 갸우뚱에 대한 개똥같은 분석과 비슷한 결론을 말하고 있다.
근데 가만 보니 죄선일보는 이 기사로 알게모르게 셀프 그레이트엿을 처먹고 있음을 깨닫는다.
일본은 지난 3월 11일 대지진의 영향에 기인하여 사회기반 시설의 일부가 붕괴된 영향으로 잠시동안 물리적인 조건이 불통이었던 시기가 있었다.
이후 일본정부가 복구에 매진하면서 일부 언론통제나 정보의 불확실성으로 한 때는 동경탈출 같은 네가티브나 돌발상황도 초래했었다.
그 덕에 정부에 대한 불신이 횡행하게 되었고 물론 사회적인 요인에 기인했지만 결과적으로 정치적인 움직임으로까지 변질된 사정이 있었다.
이 때 적극적으로 온라인 매체와 트위터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하여 개인단위의 정보교류 방식이 급속도로 확산 되었을 개연성이 크다.
기존의 매체, 미디어수단, 시스템이 순기능을 상실하자, 대안으로 선택한 수단 중에 트위터가 크게 자리를 매꾼 결과임 어렴풋이나마 상상해본다.
그리고 말레시아, 한국, 태국, 중동 이 지역의 공통점은 말레시아는 자세한 사정을 모르니 재쳐두고 모두 정치적으로 건전한 상황이 아님은 뉴스 등에서 들려오는 이야기들로 충분히 알 수 있다.
이 지역들도 결과적으로 사회시스템이 제 기능을 상실하면서 말하자면,
태국은 정치적으로 기득세력에 매수된 꼭두각시와 민중과의 알력 싸움에,
중동은 폭등하는 물가에 격렬하게 꿈틀대는 민초들의 몸부림에,
한국은 모두가 알다시피 세멘박 괴뢰정권과 기득세력, 서북청년단의 대대적인 창궐로 언로가 사방팔방 차단된 현실에서 각각의 장애를 극복하는 과정 중에 트위터가 아주 요긴하게 활용된 결과가 이번의 언어 분포가 말해주는 것이다.
한마디로 병든 지역이 트위터를 많이 쓴다라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린 병들어 있는 것이다.
그것도 감기나 홍역 따위가 아닌 중병, 암덩어리가 온 몸에 퍼진 몇 개월 안남은 목숨에 부지하는 존재인 것이다.
여기서 핵심은 사회시스템이 정상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 반대 급부로 트위터가 대안으로서 수용된 점이다.
게다가 정상적인 역할이 상실된 주체의 선두에 서 있는 것이 죄선일보 아닌가?
기사를 어떤 식으로 다루던 한국어의 분포가 높은 이유는 바로 그 기사 따위를 쓰고 있는 바로 너! 너 때문이란 걸 알기나 하겠냐 말이다.
한마디로 죄선일보의 기사는 "나 때문이에요"라고 자백하는 꼴인 거다.
차암 죄선일보는 뻔뻔하게 착한 셀프 그레이트엿을 잘도 처먹는다.
이참에 배터지도록 처먹으면 좋겠다.
농담이 아니라 덕담이다.
바로 아래가 죄선의 해당 기사이며, 그 다음이 기사 소스이니 관심있는 분들은 참조하기 바란다.
---------------------------------이하 죄선 기사---------------------------------
입력 : 2011.11.26 03:00
지난 1년새 72% 늘어… 아랍어도 22배 급증
전세계에서 오가는 트위터 메시지(트윗·twit) 가운데 한국어 트윗의 비중이 전체의 2%로 7위에 올랐다. 특히 지난 1년 새 한국어 트윗 양은 72% 증가했다.
프랑스 시장조사업체 세미오캐스트(Semiocast)는 2009년 7월부터 1년 4개월 동안 전세계 트윗 중 10%(56억 건)를 표본추출한 뒤 지난 10월을 기준으로 61개 주요 언어별 비중을 분석해 25일 발표했다.
10월 현재 세계적으로 하루 1억8000만 건의 트윗이 전송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영어는 7000만여 건(39%)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어(14%)가 뒤를 이었다. 다음은 인구대국 브라질 등이 사용하는 포르투갈어(12%), 중남미 국가들의 공용어인 스페인어(8%), 동남아에서 많이 쓰이는 말레이어(6%), 인구 1600만 명인 네덜란드어(3%), 한국어(2%), 아랍어(1%) 태국어(1%)의 순이었다. 특히 아랍어 트윗은 지난해 10월 일일 9만9000건에서 올 10월 200만 건 이상으로 1년 새 22배 급증했다. 세미오캐스트는 "최근 민주화 시위가 이어지면서 시위대의 주요 소통 수단으로 트위터가 급성장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세계 최대 인구대국인 중국의 언어로 이뤄진 트윗 비중은 0.5%에 불과했다. 중국은 자국 내에서 언론통제 정책의 일환으로 트위터 이용을 금지해 이 수치는 해외의중국계 교민들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하 세미오캐스트사이트 기사소스---------------------------------
Arabic highest growth on Twitter
English expression stabilizes below 40%
Paris, France — November 24, 2011 — In October 2011, more than 2 million public messages were posted every day on Twitter in Arabic, from about 30 000 in July 2010, a study of 5.6 billion tweets reveals.
The analysis, carried out by Semiocast, is an update of the study on language shares on Twitter published in February 2010. In October 2011, the top 5 languages used on Twitter were: English, Japanese, Portuguese, Spanish and Mala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6 billion public messages gathered between July, 1st 2010 and October, 31st 2011, to establish the evolution of most used languages on Twitter.
The messages were processed with Semiocast’s analytics tools, which can identify the language used in short messages among 61 languages in all major writing systems (including Arabic, Greek, Hebrew, Chinese, Korean, Tamil, Cyrillic, Devanagari).
The share of English messages stabilized, Japanese's decreased
Unsurprisingly, English is still the most used language on Twitter, with 39% of messages. This amounts to more than 70 million public tweets per day. Between October 2010 and October 2011, the volume of English messages increased by 182% (x2.82), slightly faster than Twitter's global growth on the same period (+150%, or x2.5). The share of English tweets has stabilized in the last 12 months between 35% and 40%, down from two thirds in 2009 and 50% in February 2010.
While Japanese remains the second most used language, the share of Japanese tweets has been slowly decreasing from more than 19% mid-2010 to 14.2% in October 2011 (about 26M per day). In one year, the volume of Japanese tweets only grew, in absolute value, by 85%, the second slowest growth among top languages after Korean (+72%).
Portuguese still third, Spanish now fourth most used language
The third most used language on Twitter is Portuguese, with 12.4% of all tweets. While this is a significant increase since February 2010, Portuguese has grown slower than Twitter globally: volume only doubled in the last twelve months (+113%). Likewise, volume of tweets in Malay languages (including Bahasa Indonesia and Bahasa Melayu) only doubled (+107%): they represent 6.4% of all messages, mostly coming from Indonesia.
With +250% growth in one year, Spanish has outgrown Malay and has been the fourth most used language on Twitter since August 2011. 8.3% of all public messages on Twitter are now in Spanish — about 15 million of tweets per day.
Likewise, Dutch (+230% in one year) has outgrown Korean (+72%). They are now 6th and 7th most used languages on Twitter representing in October 2011 respectively 2.7% and 1.6% of all tweets.
Arabic grew fastest
Yet, the growths of Spanish and Dutch look feeble compared to Arabic's. The volume of Arabic messages has multiplied by 22 (+2 146%) in the last 12 months. Arabic is now the 8th most used language on Twitter, and Arabic messages represent 1.2% of all public tweets (2.2M per day). With recent events, Twitter has grown exceptionally fast in the Middle East. Although they are not part of the top 10 most used languages, Farsi (+350% in one year, but only 50K messages per day) and Turkish (+290%, 0.8% of all tweets) have also grown fast over the period.
Thai, the 9th most used language on Twitter,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470% in one year).
Noteworthily, Twitter's website, translated into 17 languages, is not available in Thai nor Arabic yet.
Twitter still banned in China
Less than 0.5% of all tweets are in Chinese (520K per day). Indeed, Twitter is still banned in mainland China and the transition to a new authentication scheme eventually prevented Chinese users to use proxies with regular Twitter clients. China has turned to Twitter's Chinese competitors, most prominently Sina's Weibo. Semiocast's recent client surveys have shown that Weibo now accounts for up to 20% of all micro-messages for queries on global luxury, retail, tourism and transport brands.
Multilingual social media monitoring more required than ever
Language detection, associated with Twitter profiles geo-location, is a powerful tool to assess the presence of global brands on social media. While half of Twitter conversations were in English in 2010, brands now need tools that can cope with their multilingual setups. To match this growing need, Semiocast has extended its language detection algorithms to identify 61 languages in tweets, comments and blog posts, and developed premium sentiment analysis, among other tools, that can be applied to any language.
About Semiocast
Semiocast is a company based in Paris, France, providing data intelligence and research on social media. Semiocast helps its clients measure and evaluate reactions of consumers to a campaign or product launch, to understand buzzes and what consumers are saying about their products, services and brands on social media conversations. In 2011, Semiocast launched Semioboard, a multilingual social media monitoring dashboard for brands and agencies.
'仁 > 正'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51년 8월 13일 미국 국무부는 대일강화조약 최종 초안 작성 (0) | 2012.09.18 |
---|---|
혼자서 행복할 수 있는가, 혼자 행복해도 되는가 - Dalai Lama (0) | 2012.06.27 |
미국에 나라팔아먹은 매판자본의 개, 친일종미매국노 쎄끼덜, 미국간첩쎄끼덜의 면면 (0) | 2011.11.23 |
Benetton Unhate!! 세멘박과 개정일 DPS (0) | 2011.11.17 |
본받아야 된다. 봉도사의 이 처절한 깔대기정신!! (0) | 2011.11.11 |